[git hub]

git, github 필수 명령어와 사용 방법 1편

chef_coder 황인건 2024. 4. 16. 12:38

1. 코드관리를 시작하는 명령git init 

initialize (초기화하다, 초기 세팅하다)의 준말입니다.

"git_test"라는 폴더를 만들고 "index.html" 파일을 만든 상황입니다.

git init을 입력했을때 다음과 같으면 정상작동입니다.

리스트 전체를 확인하면 숨겨진 .git 폴더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. 이때부터 코드변경을 git에서 추적합니다.

이외의 폴더에서는 pwd를 입력해 현재경로 확인 후, cd 명령어로 이동 후, git init을 실행해야합니다.

 

2. 코드를 저장하는 명령어 git add와 commit

 

2-1 git add 파일명 *저장할 파일을 지정합니다.

 

2-2 git commit -m "내용"   *실질적 저장 역할을 합니다. 저장 내용을 상세히 적어주는게 좋습니다.

 

 

3. 저장 여부와 내역을 알려주는 git status와 git log

 위의 이미지를 참조 하겠습니다.

3-1 git status 저장여부를 확인합니다. 코드의 변경은 있지만 저장하지 않았다면 붉은색 문구가 뜹니다.

(현재는 저장했기에 working tree clean 이라는 글자가 뜹니다)

 

3-2 git log 저장 내역을 확인합니다.

정상적으로 저장되었음을 확인했습니다.

 

 

 

4. 변경사항 전체를 저장하기 git add .

만약 여러 파일을 동시에 저장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?

한 폴더 내에 2개의 파일을 생성했습니다.

 

이때는 git add . 명령어를 입력하면 됩니다. (반드시 띄어쓰기 하고 온점 쓸 것)

 

확인해보겠습니다.

위 이미지와 같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었음을 확인했습니다.

 

깃허브와의 연동은 2편에서 알아보겠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