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lass는 공장에서 상품을 대량으로 찍어내기 위한 방식과 비슷합니다.
같은 설계도로 특징이 다른 상품들을 찍어낼 수 있습니다.
다른 언어들은 클래스 기반의 프로그래밍 개발 기법을 사용해왔던 반면,
이전의 자바스크립트는 언어 자체에 그런 문법이 없었기에, 불편함이 있었습니다.
개발자들은 자바스크립트에서 클래스와 비슷한 개념을 사용하기 위해서 애썼고, 그 니즈를 반영하여
class문법은 ES6(2015년)에 정식으로 도입되었습니다.
class는 주조의 거푸집과 비슷합니다. 특정한 설계를 가지고 있습니다.
즉 객체를 생성하기 위한 일종의 템플릿입니다.
인스턴스는 실제로 만들어진 각각의 주물(객체)입니다. 모양, 크기 등 거푸집의 설계에 따라 정해질 수 있습니다.
class Person {
//constructor는 이름을 변경할 수 없는 class의 생성자함수 입니다.
constructor(name, age, height) {
this.name = name;
this.age = age;
this.height = height;
}
//다양한 메소드를 아래와 같이 정의 할 수 있습니다.
//this로 내부 값을 접근해야합니다.
Hello() {
console.log(`Hello, my name is ${this.name}`);
}
}
//객체들을 만들어보았습니다.
const person1 = new Person('류준열', 90, 145);
const person2 = new Person('송강호', 25, 188);
//메소드 호출해보기
person2.Hello(); //출력 : Hello, my name is 송강호
'[JS] 학습내용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자바 스크립트 Promise 객체 (비동기 처리)에 대해서 (0) | 2024.05.02 |
---|---|
자바스크립트 JS 비동기 처리와 콜백지옥을 알아보자 (+setTimeout) (0) | 2024.05.02 |
자바스크립트 break,continue 사용 방법, 쓰는 법 (0) | 2024.04.25 |
자바스크립트 스위치 js switch 쓰는 법 (0) | 2024.04.22 |
자바스크립트 화살표 함수 쓰는 법 (0) | 2024.04.22 |